|
|
비분강개(悲憤慷慨)
( 하늘바람 출판사 | 24-10-27 13:57 )
|
비 분 강 개 悲 憤 慷 慨 슬플 비 분할 분 슬플 강 분할 개 '비분'은 분하고 슬프다는 뜻이고, '강개' 역시 분하고 슬프다는 뜻이다. 즉 슬프고 분함이 심해 원통함이 극에 달한 상태를 말한다. 그런데 이 말은 개인적인 상황에 사용하기보다는 주로 국가의... Tag: 고사성어
|
|
산전수전(山戰水戰)
( 하늘바람 출판사 | 24-10-27 15:49 )
|
산 전 수 전 山 戰 水 戰 뫼 산 싸울 전 물 수 싸울 전 산전수전은 세상의 온갖 고생과 어려움을 다 겪는다는 말인데 반드시 부정적인 것만은 아니다. 산전수전으로 인해 경험치 쌓이면 그는 그만큼 단단해 질 것이다. 같은 나무라도 집에서 사람이 물을 주... Tag: 고사성어
|
|
살신성인(殺身成仁)
( 하늘바람 출판사 | 24-10-27 15:57 )
|
살 신 성 인 殺 身 成 仁 죽일 살 몸 신 이룰 성 어질 인 공자가 말씀하시기를 "뜻있는 선비와 어진 사람은 삶을 구하여 인을 해치는 일이 없고 몸을 죽여서 인을 이룬다."라고 했다. 지사(志士)란 나라와 민족을 위해 몸을 바쳐 일하려는 사람이며, 인인(... Tag: 고사성어
|
|
상전벽해(桑田碧海)
( 하늘바람 출판사 | 24-10-27 16:02 )
|
상 전 벽 해 桑 田 碧 海 뽕나무 상 밭 전 푸를 벽 바다 해 마고 선녀가 신선 왕방평에게 일러 말하기를 "스스로 신선을 모신 이래로 동해가 세 번 뽕나무밭으로 변하는 것을 보았는데 이번에 봉래에 이르니 물이 곧 갈때 보다 얕아져 대략 반쯤이었습니다.... Tag: 고사성어
|
|
수구초심(首丘初心)
( 하늘바람 출판사 | 24-10-27 17:40 )
|
수 구 초 심 首 丘 初 心 머리 수 언덕 구 처음 초 마음 심 강태공이 제나라 영구에 묻혔다. 그러나 그의 후손들은 주나라에 와서 장례를 치렀다. 군자가 말하기를 "음악은 그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바를 즐기고 예는 그 근본을 잊지 않아야 한다. 여우가 ... Tag: 고사성어
|
|
명경지수(明鏡止水)
( 하늘바람 출판사 | 24-10-26 17:16 )
|
명 경 지 수 明 鏡 止 水 맑을 명 거울 경 그칠 지 물 수 형벌로 다리가 잘린 왕태는 제자가 공자의 제자들만큼 많았는 데, 상계가 그것을 불만스럽게 여겨 공자에게 물었다. "왕태는 자기 몸을 닦고 자신의 지혜로 마음의 본체를 깨달은 것뿐이어서 자기를... Tag: 고사성어
|
|
목불식정(目不識丁)
( 하늘바람 출판사 | 24-10-26 17:27 )
|
목 불 식 정 目 不 識 丁 눈 목 아닐 불 알 식 고무래 정 부모 덕에 출세를 한 장홍정이 노령이라는 지역의 절도사로 지내고 있을 때, 이 지역 황하 이북에 한 장군이 병사들과 지내면서 병사들과 같이 먹고 자고 하는 등 병사들과 같은 조건에서 생활하였... Tag: 고사성어
|
|
발본색원(拔本塞源)
( 하늘바람 출판사 | 24-10-26 17:54 )
|
발 본 색 원 拔 本 塞 源 뽑을 발 근본 본 막을 색 근원 원 주나라의 임금이 "나에게 큰아버지가 계심은 마치 의복에다 갓이나 면류관(冕旒冠)을 갖춘 것과 같고, 나무의 뿌리와 물의 수원이 있는 것과 같고 백성들에게 지혜로운 임금이 계신 것과 같다. ... Tag: 고사성어
|
|
방약무인(傍若無人)
( 하늘바람 출판사 | 24-10-26 17:58 )
|
방약무인 傍 若 無 人 곁 방 같을약 없을무 사람인 위나라 형가는 무예와 학문에 뛰어났으며 술을 좋아하여 여러 현인과 영웅호걸들과 교류를 하였다. 그러나 그의 조국에서는 뜻을 펼치지 못하여 연나라에 와 있었 때 이야기이다. 연나라에는 친구 고점리가... Tag: 고사성어
|
|
단사표음(簞食瓢飮)
( 하늘바람 출판사 | 24-10-26 12:14 )
|
단 사 표 음 簞 食 瓢 飮 대그릇 단 밥 사 표주박 표 마실음 공자의 제자 중에서 안회라는 이가 유독 학문과 재능이 뛰어났다. 그는 너무 가난했지만 그것을 부끄럽게 여기지 않고 학문에 정진했다고 한다. 공자가 말씀하시되 "어질도다, 안회여! 한 소쿠리... Tag: 고사성어
|
|
대기만성(大器晩成)
( 하늘바람 출판사 | 24-10-26 12:22 )
|
대기만성 大器晩成 클 대 그릇 기 늦을 만 이룰 성 위나라 의 최염 장군은 대인의 기품이 있어, 위나라 무제의 신임이 매우 두터운 사람이었다. 그의 사촌동생에 임이라는 사람이 있었는데, 그는 젊어서는 별로 명망(名望)이 없었기 때문에 친척간에도 업신여... Tag: 고사성어
|
|
동병상련(同病相憐)
( 하늘바람 출판사 | 24-10-26 12:28 )
|
동병상련 同 病 相 憐 같을동 병 병 서로상 불쌍할 련 합려는 자객인 전저를 시켜 오나라의 왕 요를 죽이고 왕위에 올랐다. 오자서는 전저를 천거한 공로로 대부가 되었고 또한 초나라에서 망명한 백비를 천거하여 함께 정치를 하게 되었다. 그때 같은 대부 피... Tag: 고사성어
|
|
마이동풍(馬耳東風)
( 하늘바람 출판사 | 24-10-26 16:08 )
|
마 이 동 풍 馬 耳 東 風 말 마 귀 이 동녘 동 바람 풍 당나라 시인 이백이 벗 왕십이와 시를 주고 받는 가운데 이백(李白)은 "우리네 시인들이 아무리 좋은 시를 짓더라도 이 세상 속물들은 그것을 알아주지 않는다"며 울분을 터뜨리고 다음과 같이 적었... Tag: 고사성어
|
|
초미지급(焦眉之急)
( 하늘바람 출판사 | 24-10-26 16:13 )
|
초 미 지 급 焦 眉 之 急 탈 초 눈썹 미 어조사 지 급할 급 불혜선사는 고승이다. 그의 수행은 당대의 어느 고승)보다 뛰어나다는 평을 받았다. 선사는 살아 있을 때에 사문으로부터 많은 질문을 받고 답해 주었다. 어느 날 한 사문이 물었다. "선사님, 이... Tag: 고사성어
|
|
맥수지탄(麥秀之歎)
( 하늘바람 출판사 | 24-10-26 16:46 )
|
맥수지탄 麥秀之歎 보리 맥 빼어날 수 어조사 지 탄식 탄 은나라 주왕은 하나라 걸왕과 함께 폭군의 대표적인 인물이었지만 그에게는 훌륭한 신하 셋이 있었는데 미자ㆍ기자ㆍ비간이었다. 주왕은 이들의 간언을 듣지 않고 주색에 빠져 있었던 까닭으로 결국 주... Tag: 고사성어
|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