현대 국어는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국어(한국어)를 가리키며, 근대 국어 이후(17세기 후반~18세기 무렵)의 언어가 변화·정착하여 오늘날에 이른 시기의 국어를 말한다. 보통 20세기 초반부터 현재까지의 언어를 현대 국어라고 부르며, 쓰기·말하기 양상, 문자 ... Tag: 국어 공부/문법, 국어, 국어 공부, 국어 문법, 국어사, 한국어, 한글, 한글맞춤법통일안, 현대 국어
근대국어는 한국어 역사에서 17세기 후반부터 19세기 말에 쓰였던 한국어를 가리킨다. 양란 이후부터 개항기 직전까지의 언어를 말한다. ️ 1. 시기 구분 임진왜란(1592)과 병자호란(1636) 이후 개항기까지 국어, 17세기 말~19세기 말→ 대체로 10~16... Tag: 국어 공부/문법, 고등 문법, 국어 공부, 국어 문법, 국어사, 국어의 변천, 국어의 변화, 국어의 역사, 근대 국어
《소학언해(小學諺解)》는 조선 전기 대표적인 유학 경전 언해본 가운데 하나이다. 《소학》 자체는 어린이나 초학자를 위해 유교 윤리의 기본을 가르치는 책으로 《소학언해》는 이 세 부분을 충실히 한글로 풀이하여 당시 일반 독자나 학동들도 쉽게 이해할 수... Tag: 국어 공부/문법, 국어 문법, 국어사, 국어의 역사, 소학, 소학언해, 언해, 중세 국어, 한글, 훈민정음
이선희는 1984년에 노래 <J에게> 로 데뷔해 한국 대중 가요계를 대표하는 여성 보컬리스트로 자리 잡았다. 맑으면서도 힘 있는 고음과 세밀한 감정 표현으로 오랫동안 사랑받아 왔다. 그녀는 1980~1990년대 수많은 히트작을 남겼다. 그러다 2000년대 들어... Tag: 글귀 감상 및 필사/노래, 거자필반, 노래, 노래 감상, 노래필사, 만남, 왕의 남자, 이별, 이선희, 인연, 회자정리
용비어천가(龍飛御天歌)는 세종 대에 만들어진 궁중 찬가(악장)이다. 제목의 뜻은 '용(임금)이 날아올라 하늘을 다스린다.'로 조선 왕조 성립의 정당성(천명, 天命)과 국가의 발전에 대한 기대를 노래한 작품이다. 새로운 문자(훈민정음)로 기록된 가장 이른... Tag: 국어 공부/문법, 국어 문법, 국어사, 국어의 역사, 세종대왕, 용비어천가, 중세 국어, 한글, 훈민정음
인생을 살다보면 누구나 힘든 순간을 맞이한다. 인생의 모든 순간이 평탄하다거나 모든 순간이 괴롭기만 한 것은 아니다. 모름지기 인생은 새옹지마(塞翁之馬)라고 하지 않았던가. 도종환 시인의 〈흔들리며 피는 꽃〉은 그의 대표적인 서정시 중 하나로, 자... Tag: 글귀 감상 및 필사/시, 고난, 공감, 도종환, 시 감상, 시 필사, 시 해석, 위로, 인생, 흔들리며 피는 꽃, 희망
국어사(國語史)는 한국어가 형성되고 변화해온 과정을 다루는 학문이다. 쉽게 이야기하면 국어사는 국어의 역사라고 보면 된다. 국어사의 큰 줄기를 정리해보자. 1. 국어사의 연구 대상 국어사가 다루는 것은 국어의 역사적 변화이다. 음운, 표기, 문법, 어휘... Tag: 국어 공부/문법, 고대국어, 국어, 국어 공부, 국어사, 근대국어, 문법, 중세국어, 현대국어
고대국어는 한국어 역사에서 10세기 전까지 쓰였던 가장 이른 단계의 한국어를 가리킨다. 고조선 때부터 통일신라에 이르는 시기의 언어를 말하며, 직접적인 기록 자료는 적지만 몇 가지 특징을 확인할 수 있다. ️ 1. 시기 구분 고조선: 단군, 왕검, 조선... Tag: 국어 공부/문법, 고대국어, 국어 문법, 국어사, 근대국어, 중세국어, 현대국어
중세국어는 한국어 역사에서 10~16세기 사이에 쓰였던 한국어를 가리킨다. 고려 후기부터 조선 전기에 이르는 시기의 언어를 말하며, 훈민정음이 창제된 1443년~1446년 이후 표기가 용이해지면서 풍부한 자료가 남아있다. ️ 1. 시기 구분 전기 중세 국어: ... Tag: 국어 공부/문법, 고등 문법, 국어 공부, 국어 문법, 국어사, 세종대왕, 중세 국어, 훈민정음
훈민정음은 세종대왕이 1443년에 창제하고 1446년에 반포한 새 문자 체계(한글)의 이름이다. ‘훈민정음’이라는 말은 “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”라는 뜻으로, 창제 당시 책 제목이자 문자 자체의 명칭이었다. 세종대왕은 백성이 자기 뜻을 쉽게 글로 ... Tag: 국어문법, 국어사, 세종대왕, 세종어제훈민정음, 중세국어, 한글, 훈민정음, 훈민정음혜례본